infoviva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지원
      • 생활정보
  • 홈
  • 태그
  • 방명록
카테고리 없음

인간관계의 새로운 양상, 인덱스 관계

관계의 스펙트럼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서 중요시되는 것 중에 하나는 인간관계일 것입니다. 우연한 기회에 자연스럽게 시작되는 일상 속 만남이 과거의 관계를 맺는 방식이었다면 요즘은 인연에만 의존하지 않습니다. 현대인들의 인간관계는 그 기준점이 다양합니다. 서로 교차하고, 다시 새로운 관계의 유형이 만들어지는 스펙트럼과 같습니다. 소통의 매체들이 발달되면서, 인간관계의 방식이 새롭게 변화하고, 인간관계의 본질마저 달라지고 있습니다. 목록의 의미를 가진 인덱스는 데이터를 정리할 때 이름, 크기, 속성 등을 표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현대인의 인간관계가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면서 인덱스를 붙이는 방식으로 관리되는 현상을 '인덱스 관계'라고 부릅니다(트렌드 코리아 2023). 각종 정보를 교류하고, 목적에 따라 인간관..

2022. 11. 19. 00:05
카테고리 없음

대대적인 노동 시장의 변화, 오피스 빅뱅

직장인의 나비효과 코로나 사태를 겪으며 사람들은 본의 아니게 재택근무를 경험하고 적응하면서 지금까지 당연시 여기던 것들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품게 되고 나아가 일의 의미를 재정립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의 나비효과로 회사의 조직이 변화되고, 결과적으로 거대한 노동 시장의 시스템에 폭풍이 일고 있습니다. 매우 근원적이고 폭발적인 이러한 변화를 '오피스 빅뱅'이라고 부릅니다(트렌드 코리아 2023). 팬데믹 시기에 부동산, 주식, 코인, 미술품 등을 통한 재테크에 성공한 소수 직장인들은 더 이상 일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게 되었습니다. 월급 이외의 소득 상승은 사람들이 노동을 거부하게 만들고, 노동의 가치를 하락시키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노동의 가치가 무의미하다고 느낀 사람들은 심지어 노동을 포기하기도 합니다...

2022. 11. 16. 14:02
카테고리 없음

평균 실종: 평균이 사라지는 사회

'평균'의 변화 평균은 많은 개별 값이 모인 자료를 하나의 숫자로 나타낼 때 주로 쓰입니다. 일상 속에서 '일반적으로 ~하다', '평균적으로 ~하다'라고 표현합니다. 평균값을 중앙으로 종모양의 좌우 대칭적인 분포를 정규분포라 하며 이는 대부분 1,2의 표준편차에 그 값이 분포합니다. 평균 나이, 평균소득, 평균수명, 평균 수익률, 평균 체중, 평균 점수 등 일상의 여러 영역 속에서 우리는 평균의 개념을 사용해왔습니다. 평균은 지금까지 우리에게 하나의 기준이 되어왔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평균을 넘으면 안심하고 못 미치면 불안해합니다. 이러한 비교는 때때로 자기반성과 동기부여 측면에서 긍정적입니다. 그러나 개개인성이 강조되는 나노 사회에서는 평균의 개념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는 평균적인 사고의 세 가지 오..

2022. 11. 15. 16:23
카테고리 없음

성실함의 새로운 단어: 바른생활 루틴이

미세 행복을 위한 자기 다짐적 태도 일상의 가치가 더욱 소중히 되고, 자신의 일상을 스스로 계획하는 가치관이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학기 중과 학교 방학, 업무시간과 휴가 등이 규칙적으로 반복되었던 예전과는 달리 코로나 19 이후 지금은 각자 개인의 생활 패턴이 자유로워졌습니다. 법정 근로시간이 축소되며 '주 4일 근무제'도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유로운 일상은 사람들에게 불안감을 주기도 합니다. 구조화되지 않은 일상에서, 큰 성공이라는 것이 어려워진 나노 사회에서 사람들은 스스로의 시간을 잘 통제하는지 의문을 갖거나 자신만 뒤처지지는 않는지 초초해하고 불안해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효용감을 일상에서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그들은 미래의 큰 만족보다 순간의 작은 성공들을 적립하여 스스로의 일상..

2022. 11. 10. 17:57
카테고리 없음

요즘 사람들의 건강 관리법, 헬시 플레저

과정과 결과가 즐거운 건강 관리 과거 건강한 삶은 유해한 것들을 절제하며 몸과 마음이 아픈 곳이 없는 상태를 의미했습니다. 그러나 요즘 사람들에게 건강은 스스로의 삶과 몸 상태에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의미하며 건강관리가 곧 자기 관리의 궁극적인 목표이며 '업글인간'의 라이프스타일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과정과 결과가 즐거운 건강관리법에 관심을 보입니다. 지속적으로 즐겁게 건강을 관리하는 것을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라고 합니다(트렌드 코리아 2022). 코로나 19와 경제적, 정치적 불안감이 만연한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의 건강과 면역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졌습니다. 특히 젊은 세대들은 음식은 안 먹어도 영양제는 꼭 챙기고, 피로 회복을 위해 마사지기, 프리미엄 매..

2022. 11. 9. 17:26
카테고리 없음

촌스러움을 즐기는 '친'시골의 대명사, 러스틱 라이프

불편하지만 매력적인 날것의 장소 과거의 휴가는 가족끼리 시골 계곡에서 피서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보다 조금 발전된 휴가는 시즌마다 비싼 호텔이나 콘도에 가는 것이었습니다. 요즘의 휴가는 자신을 재충전하기 위해 언제든 잠시 도시를 떠나 시골에 가는 것입니다. 시골은 더 이상 낙후된 공간이 아니라 불편함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매력적인 날것의 장소입니다. 단순하지만 편안하고, 정갈한 시골 정취의 분위기를 가진 '친(friendly)' 시골을 의미합니다. 일상에서 벗어난 나의 아지트이면서 동시에 힐링과 쉼을 위한 곳이기도 합니다. 러스틱 라이프는 삶의 터전인 도시를 벗어나 시골의 소박한 촌스러움을 즐기는 것을 지칭합니다. 안정과 휴식에 대한 소망 코로나 19로 인해 언택트 사회가 등장하면서 사람들은 코로나 번아웃이..

2022. 11. 8. 23:44
  • «
  • 1
  • 2
  • 3
  • 4
  • »
반응형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 지원
    • 생활정보
애드센스 광고 영역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태그

  • #micro happiness
  • #미래 기술
  • #소비자 윤리
  • #조용한 퇴사
  • #슈퍼 프리랜서
  • #자립 준비
  • #트렌드 코리아 2023
  • #시골 생활
  • #득템력
  • #래플
  • #나노 사회
  • #자율출퇴근제
  • #트렌드 코리아 2022
  • #미세 행복
  • #라이크커머스
  • #시골집
  • #짠테크
  • #자본주의 키즈
  • #2022 소비트렌드 키워드
  • #머니러시
  • #부모 급여
  • #건강 관리
  • #긱노동
  • #드로우
  • #체리슈머
  • #하이브리드 워크
  • #가상 현실
  • #부모 수당
  • #나노사회
  • #헝거마케팅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infoviva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